본문 바로가기

영화이야기

[스크랩] 영화 <귀향>을 보고

일제시대 위안부 실화를 다운 영화 <귀향>을 보았습니다.

 

이 영화는 14년의 제작기간이 걸렸으며 75,270명의 개인후원을 통해 완성되었다고 합니다.

 

당초 40여개였던 개봉관이 현재는 국민들의 요구로 인해 300여개가 넘는 상영관으로 확대 개봉하였습니다. 현재 얘매율 1위로 관객수 100만명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한때 무산될 위기에 처했던 영화<귀향>이 국민들의 자발적 성원에 힘입어 기적을 써내려가고 있습니다.

 

 

 

 

영화적으로도 <귀향>은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의 구성과 연출, 배우들의 호연과 더불어 OST도 무척 감동적입니다.

 

1943년 위안부로 끌려가 고통을 겪었던 소녀들의 이야기와

 

위안부 문제가 공개되고 공식화되던 1991년의 이야기가 동시에 진행됩니다.

 

 

 

 

극의 구성은 성폭력으로 인한 충격으로 무녀가 된 소녀 은경(아마도 가상인물)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이어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은경은 무녀 스승의 지인 영옥(손숙 분)을 만나 무녀로서의 신기를 통해 그녀가 과거에 겪었던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과거 이야기속 주인공 정민은 14살의 소녀로 부모님의 사랑을 듬뿍받는 외동 딸입니다.

 

어느 날 일본군으로 인해 부모와 생이별을 하고 강제로 끌려가게 됩니다.

 

 

 

 

그 당시 소녀들은 자신들이 어떤 일을 겪을지 상상도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소녀는 신발공장에서 일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들에겐 지옥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녀들의 소원은 따뜻한 가족이 기다리는 고향땅을 다시 밟는 것이었습니다.

 

 

 

 

국내에서 10만명의 여성이 위안부로 끌려갔다고 하는데 후일 위안부로 등록되신 분은 238명이었다고 합니다.

 

얼마나 많은 희생이 있었던 걸까요. 불과 100년도 안된 과거에 말입니다.

 

과거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우리는 일본의 만행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영화 <귀향>은 출연 배우들의 연기도 좋았습니다.

 

주인공 정민의 아버지 어머니 역할을 한 정인기, 오지혜님 연기가 인상적이었구요

 

위안부 소녀역의 연기자들도 안정적인 연기를 보여주었습니다. 신인같지가 않아요

 

주인공 정민역의 강하나양은 제일교포 4세라고 합니다. 아버지는 일본에서 극단을 하신다고...

 

연기 경험이 나이에 비해 꽤 있는 듯 합니다. 부디 이 영화로 인해 일본으로부터 불이익은 없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영화음악입니다.

 

무녀씬에서 나오는 창도 극에 잘 어울리지만 메인 테마곡인 가시리, 아리랑은 정말 서글프게 들리더군요.

 

지금도 계속 귓가에서 울리는듯 합니다. 음악감독은 이 영화의 음악을 위해 아우슈비츠 현장에도 가보셨다고...

 

후반부에 영화후원자 명단이 나오면서 위안부 생존자들이 그리신 그림들을 보여줍니다.

 

그림마다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많은 내용이 담긴 그림들이었습니다.

 

부디 <귀향> 많이들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영화가 천만영화가 된다면 그들도 더 이상 우리를 얕잡아 보지 않을테니까요.

 

 

고 강덕경 할머님의 '배를 따는 일본군'

 

 

* 아베 상관도 없는 홀로코스트 기념관에선 무릅까지 꿇었다는데.. 우리에겐 왜 그러는건지? 사악하기 그지없다. 독일은 지금도 정권이 바뀔때마다 2차대전 전범국으로서 사과의 말을 잊지 않는다고 합니다.

 

* <귀향>의 감독은 프로야구 김성근감독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영화 <파울볼>의 조정래 감독입니다. 정말 고생 많으셨고 앞으로도 좋은 영화 부탁드립니다.

 

* 국정교과서 실시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위안부에 대한 내용이 과거와 달리 애매모호하고 단순하게 바뀌었다고 합니다. 현 정권의 수장들, 일제를 옹호하는 사람들. 일본의 아베도 이 영화 꼭 봤으면 합니다.

 

* 예고편들을 보니 극장에서 보지 못했던 화면들도 종종 보였습니다. 내부자들처럼 <귀향>의 감독판도 개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김구선생의 외증손자 임성철 pd가 이 영화에 출연도 하고 개인재산을 털어 투자하기도 했답니다. 

쿠싱병이란 희귀병을 앓고 있다는데 부디 쾌차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은희지 - 가시리




위안부를 다룬 다음웹툰 <곱게 자란 자식>


http://webtoon.daum.net/webtoon/view/wellgrow

출처 : 땡큐 문화야 ★영화/연극/뮤지컬/친목★
글쓴이 : 너바나 원글보기
메모 :